DFS(Depth First Search)
아래 글들은 이것이 코딩 테스트다의 강의를 기반으로 개인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리한 글입니다.
DFS
- 깊이 우선 탐색이라고도 부르며, 그래프에서 깊은 부분을 우선적으로 탐색하는 알고리즘
- 스택 자료구조 혹은 재귀함수를 이용한다.
동작 과정
- 탐색 시작 노드를 스택에 삽입하고 방문 처리 한다.
- 스택의 최상단 노드에 방문하지 않은 인접 노드가 있으면 그 인접 노드를 스택에 넣고 방문처리 한다. 방문하지 않은 인접 노드가 없으면 스택에서 최상단 노드를 꺼낸다.
- 2번의 과정을 더 이상 수행할 수 없을 때까지 반복한다.
동작 과정 이해 하기
- 시작 노드인 ‘1’을 스택에 삽입하고 방문 처리를 합니다
- 스택의 최상단 노드인 ‘1’에 방문하지 않은 인접 노드 ‘2’, ‘3’, ‘8’이 있습니다.
- 이중에서 가장 작은 노드인 ‘2’를 스택에 넣고 방문 처리를 합니다.
- 이중에서 가장 작은 노드인 ‘2’를 스택에 넣고 방문 처리를 합니다.
- 스택의 최상단 노드인 ‘2’에 방문하지 않은 인접 노드 ‘7’을 스택에 넣고 방문 처리를 합니다.
- 스택의 최상단 노드인 ‘7’에 방문하지 않은 인접 노드 ‘6’, ‘8’이 있습니다.
- 이 중에서 가작 작은 노드인 ‘6’을 스택에 넣고 방문 처리를 합니다.
- 스택의 최상단 노드인 ‘6’에 방문하지 않은 인접 노드가 없습니다.
- 따라서 스택에서 ‘6’번 노드를 꺼냅니다.
- 따라서 스택에서 ‘6’번 노드를 꺼냅니다.
- 스택의 최상단 노드인 ‘7’에 방문하지 않은 인접 노드 ‘8’이 있습니다.
- 따라서 ‘8’번 노드를 스택에 넣고 방문 처리를 합니다.
- 따라서 ‘8’번 노드를 스택에 넣고 방문 처리를 합니다.
- 위 과정을 반복하며 전체 노드를 탐색 합니다.
- 탐색 순서는 1 → 2 → 7 → 6 → 8 → 3 → 4 → 5 순서로 방문하게 됩니다.
실제 구현 코드
def dfs(graph, v, visited):
visited[v] = True
print(v, end=' ')
# 연결된 다른 노드를 재귀적 방문
for i in graph[v]:
if not visited[i]:
dfs(graph, i, visited)
# 각 노드가 연결된 정보를 리스트 자료형으로 표현(2차원 리스트)
graph = [
[],
[2, 3, 8],
[1, 7],
[1, 4, 5],
[3, 5],
[3, 4],
[7],
[2, 6, 8],
[1, 7]
]
# 각 노드가 방문한 정보를 리스트로 저장
visited = [False] * 9
dfs(graph, 1, visited)
- graph의 index가 각 노드와 연결된 노드의 값을 가지고 있다. (나만 잘 이해가 안갔는가 …?)
- graph의 [0] index를 사용하지 않고 [1]부터 사용하도록 처리한다.
'자료구조&알고리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알고리즘 문제 풀이에 접근하는 방법 (0) | 2023.08.30 |
---|---|
이진 탐색(Binary Search) 이란 ? (0) | 2023.06.14 |
퀵 정렬 (Quick sort) (0) | 2023.06.13 |
재귀 함수란? (0) | 2023.06.12 |